- 연구실 소개
연구실 소개
C1 가스 리파이너리 사업단
KAIST 시스템 및 합성생물학 연구실
연구실 개요
주요 연구 내용 소개
1. 다중오믹스 기반 CO 고정 기작 규명 및 고효율 CO 전환 균주 설계·구축
본 연구실은 CO 가스 고정 및 바이오화합물 생산을 위한 아세토젠 균주 개량을 위해 균주 내 생체회로를 파악하고, 작동 및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시스템 생물학적 접근을 통한 아세토젠의 CO 대사메커니즘에 대한 이해 및 재구축을 1차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균주 유전체의 유전자 암호화 영역, 전사시작점 및 종결점, 필수 유전체 영역, 전사체 발현, 단백질 번역 등의 메타스트럭쳐 시스템 정보를 얻고, 이를 가상의 세포모델로 표현 및 수치화하여 표현형을 예측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또한, CO 가스 조건에서의 아세토젠 균주의 적응진화를 통해 CO 고정 효율이 높은 균주를 발굴하고, CO 고정 메커니즘의 효율증대에 관한 유전자 변이주를 확보하고자 해당 연구를 진행 중이다. 더불어, CRISPRi/a와 guide RNA library를 토대로 CO 가스 조건에서의 해당 아세토젠 균주 내 필수/비필수 영역 및 개량 유전자 후보군을 유전체 수준에서 선별하고, 유전체 편집기술을 이용하여 고효율 CO 고정 플랫폼 균주를 설계 및 구축하고자 한다(Figure 2).2. 고효율 CO 전환 및 대사 균주 기반 젖산 생합성 균주 구축
다중오믹스 및 대사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구축된 고효율 CO 고정 플랫폼 균주를 기반으로 고부가가치 바이오화합물 생산이 가능한 인공유전체 구축을 2차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합성생물학 기술기반으로 젖산 생합성 대사회로 구축에 필요한 고효율 유전자를 발굴하고 이를 바이오파트/모듈화 하여 젖산 생합성 네트워크를 재구축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젖산 농도에 반응하여 형광을 발현할 수 있는 젖산 생합성 감지 유전자 회로를 설계 및 구축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다중오믹스 및 대사네트워크 모델을 통해 젖산 고생산 유전체 변이주를 선별하고, 고효율 CO 전환 플랫폼 균주를 기반으로 다중유전체 편집기술을 적용해 해당 유전체 변이주를 도입하여, 최종적으로 고효율 CO 전환/젖산 생합성 인공유전체를 구축하고자 한다.연구실현황
시스템 및 합성생물학 연구실(Systems and Synthetic Biology Laboratory)은 조병관 교수를 비롯하여 연구교수 1명, 석박사통합과정 학생 19명, 연구원 3명으로, 총 24명의 실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근 5년 동안 Nature Chemical Biology, Nature Communications, Nucleic Acid Research 등을 포함하여 50여편의 국제논문과 10여건의 국내외 특허출원 및 등록 등의 우수한 연구실적을 올리고 있다. 특히, 최고 수준의 NGS 분석기술과 합성생물학 기술을 바탕으로 산업미생물로 가치가 높지만 유전자조작, 배양기술 등 요소기술이 제한적인 아세토젠, 방선균, 마이크로비움 구성 혐기성 미생물 등을 시스템 수준에서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유용물질을 생산하는 인공유전체를 구축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